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시민저널

트위터 새로운 구심점의 출현 가능성

트위터 새로운 구심점의 출현 가능성


19대 총선 결과 이후 SNS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두 가지 상반된 측면에서 예상할 수 있는 데, 하나는 한 때 카페나 블로그처럼, 철 지난 유행 상품 대열에 진열될 수 있다는 부정적인 면과 다른 하나는 지금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폭을 수용하며 공론장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는 긍정적인 면이다.



이미 SNS는 오래 전부터 그들만의 리그였다. 트위터의 경우, 그동안 주로 진보적 성향의 정치적 트윗들이 많았고, 그들의 의견과 다른 사람에겐 집중적으로 블럭을 하여 그의 계정을 정지시키거나 공격 멘션으로 침묵을 강요하는 일들이 많았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이 자정능력이라고 여겼다.


 <글과 댓글 참조: 집단 블럭이 자정 능력인가> 이러한 행동들은 공론장의 기능으로 부적합하다는 경고가 소수의 목소리로 간간이 나오고 있었지만, 그들의 ‘으샤으샤’ 소리에 묻히기 일상이었다.


어떤 집단이든 구심점이 있기 마련이다. 각자 개개인의 대중을 SNS라는 집단으로 형성하는 데에는 유명인들의 공이 컸다. 트위터는 미국의 오바마와 한국의 김연아가 사용한다는 소식만으로 많은 대중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많은 정치인과 연예인 등 유명인들이 사용하면서 확산되었다. 


러나 19대 총선 결과 이후 과연 이 유명인들이 지금처럼 트위터를 사용하게 될까. 가상과 현실의 격차가 드러난 지금 진보 성향의 정치인들은 떠날 것이고, 보수 정치인들은 오던 길을 뒤돌릴 것이다. 많은 정치인들과 연계된 유명인들도 덩달아 트위터를 멀리 하게 될 수 있고 이들의 활동저하는 곧 트위터 구심점의 소멸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동안 경성화 되었던 트위터가 연성화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심점으로 새롭게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실제 트위터의 해쉬태그의 흐름을 보면 정치적인 트윗 이외에도 비슷한 선호 경향에 따라 묶음(#날방, #유머당, #트친소, #문화 등)이 형성되는 걸 볼 수 있다. 이런 연성적인 트윗과 활동은 극단화된 정치적 세력들도 자연스럽게 주제에 흡수하기도 하고, 때로는 서로 엇갈리는(정치적인 주제) 이야기도 블럭이란 충돌 대신 유머스럽게 의견을 나누거나 충돌을 빗겨가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차단되어진 그들만의 리그에서 편협된 생각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공간에서 각자 서로 다른 의견을 나눔으로서 마치 수면자효과(sleeper effect)처럼 서로에게 생각의 균형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 매체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성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다양성이냐 파편화냐는 보는 시각의 차이일 뿐이다. SNS는 앞으로 좀더 파편화되어야 한다. 그것은 곧 확장이고 합리성을 강화하는 것이다. SNS가 유행으로 지날 것인가, 진화할 것인가는 중요한 게 아니다.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매체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한 반성이며, 디지털 공간안에서도 사람들에게 어떻게 대해야 하는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작성: 2012. 4. 12                      

본 기사는 알권리 충족과 정보공유를 위해 개방된 글입니다. Copyleft@ 시흥라디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