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홍보

시흥시민, 교통 확충 최우선 과제로 꼽아

시흥시(시장 임병택)가 관내 시민의 생활 전반에 대한 의식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8월 29일부터 9월 12일까지 진행한 ‘2024년 제10회 시흥시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이번 조사는 관내 표본 15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가족과 가구환경보건사회통합과 공동체안전시흥시 특성 등 7개 분야 57개 항목을 다뤘다.

 

 

 

 

 

 

조사 결과맞벌이 부부 비율은 2018년 35.7%, 2022년 50.3%에 이어 2024년 58.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가사 분담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전통적 성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사 분담은 ‘부인이 주로 하고 남편도 분담한다’는 응답이 50.9%로 가장 많았고‘공평하게 분담한다’는 응답은 19.5%에 그쳤다특히 맞벌이 비율이 가장 높은 40대에서는 ‘부인이 주로 한다’는 응답이 63.0%에 달해 가사노동의 성별 불균형이 두드러졌다.

 

시민들의 저출산에 따른 사회적 우려는 ‘세금 증가’(32.5%)가 가장 높았고‘연금 고갈’(20.0%)과 ‘복지 혜택 축소’(18.3%)에 대한 불안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특히 연금 고갈 우려는 2018년 14.9%, 2022년 17.0%에서 2024년 20.0%로 상승했으며복지 축소에 대한 걱정도 같은 기간 12.4%에서 18.3%로 증가했다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령사회에 대비한 복지 및 정책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사회 계층별 필요 정책으로는 영유아는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보육 환경 조성’(53.2%), 아동은 ‘돌봄기관 설치 확대’(41.1%), 여성은 ‘경력 단절 여성의 취업 및 창업 지원’(38.2%), 청년은 ‘일자리 확대 및 창업 지원’(46.4%)을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혔다외국인 주민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정책으로는 ‘언어ㆍ문화 교육’(53.8%)이 가장 높았으며장애인 복지사업에 필요한 정책은 ‘장애인 복지시설 확대’(24.3%)로 나타났다시는 계층별 정책 수요를 반영해 맞춤형 복지 및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갈 방침이다.

 

환경 및 의료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녹지환경(자연경관 및 공원녹지 등만족도는 57.8%로 2022년 대비 상승했으며대기질(47.6%)과 수질(45.5%) 만족도도 각각 2.1%포인트, 5.6%포인트 증가했다의료서비스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5.7%가 만족한다고 밝혔고‘의료비 과다’(36.2%)가 가장 큰 불만 요인이었다반면 ‘의료기관 접근성’에 대한 불만은 2018년 28.5%에서 2024년 18.0%로 감소해최근 의료기관 수 증가가 긍정적 효과를 낳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흥시 발전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는 ‘교통 인프라 확충’(27.6%)이 꼽혔다이에 시는 서해선 연장신안산선경강선 등 광역철도 개통을 통해 시민 교통편의 증진과 도시 균형 발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아울러 지역 내 대중교통 체계 개선을 병행 추진해 교통 불편 해소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2024 시흥시 사회조사 보고서’는 시흥시청 누리집(www.siheung.go.kr)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정보통신과 AI데이터팀

 

Copyleft@ 콘텐츠는 알권리 충족을 위해 개방된 글이며, 출처를 밝힌 인용과 공유가 가능합니다. 반론이나 정정, 보충취재를 원하시면 카톡 srd20, 메일 srd20@daum.net으로 의견 주세요.

마이크로시민저널리즘 - 시흥미디어

 

728x90